표 3 향후 이주의향에 대한 이항로짓모형 분석결과: 지역, 연령대
| 동부 vs. 읍면부 | 시지역 vs. 군지역 | 연령대 |
동지역 | 읍면지역 | 시지역 | 군지역 | 39세 이하 | 40~64세 | 65세 이상 |
거주주택 만족도 | -0.047***(-5.54) | -0.043***(-10.44) | -0.053***(-9.46) | -0.033***(-6.48) | -0.066***(-4.22) | -0.065***(-8.86) | -0.024***(-6.62) |
관측수 | 3,622 | 7,344 | 6,784 | 4,182 | 1,358 | 4,504 | 5,104 |
Pseudo R2 | 0.170 | 0.347 | 0.239 | 0.338 | 0.106 | 0.153 | 0.244 |
주: 괄호 안의 수치는 t-값이며, *, **, 그리고 ***는 각각 10%, 5%, 그리고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냄. 회귀분석에는 응답자의 속성과 거주하는 주택의 유형 및 점유형태, 지역의 정주여건에 대한 만족도 등을 나타내는 변수들이 포함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결과는 지면상의 제약으로 표시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