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향후 이주의향에 대한 이항로짓모형 분석결과: 가구원수, 권역, 자녀

가구원수 권역 미취학 자녀
1인 2인 이상 북부권 서해안권 내륙권 남부권 있음 없음
거주주택 만족도 -0.027***(-4.58) -0.058***(-11.14) -0.066***(-8.63) -0.028***(-3.37) -0.040***(-5.68) -0.031***(-3.76) -0.076***(-3.19) -0.043***(-10.91)
관측수 4,520 6,446 4,051 1,913 3,017 1,985 551 10,386
Pseudo R2 0.324 0.274 0.212 0.339 0.335 0.337 0.181 0.281
주: 괄호 안의 수치는 t-값이며, *, **, 그리고 ***는 각각 10%, 5%, 그리고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나타냄. 회귀분석에는 응답자의 속성과 거주하는 주택의 유형 및 점유형태, 지역의 정주여건에 대한 만족도 등을 나타내는 변수들이 포함되었으나 이들에 대한 결과는 지면상의 제약으로 표시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