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회귀분석 결과: 자산별 분석
구분 | Model 1. 고령인구의 자산별 분석 |
비표준화 계수 | Robust 표준오차 | t 값 | VIF |
상수항 | 62.5139*** | 2.2752 | 27.4767 | - |
인구통계학적 특성 | 연령 | -0.0078 | 0.0296 | -0.264 | 1.7128 |
학력 수준 | 2.2824*** | 0.4634 | 4.9256 | 1.4171 |
성별 | -0.9916** | 0.4784 | -2.0726 | 1.4421 |
관계적 특성 | 동거자녀 존재 여부 | -1.214** | 0.4948 | -2.4533 | 1.008 |
은퇴 여부 | 0.8159 | 0.5356 | 1.5233 | 1.5355 |
건강특성 (t-1) | 현재 건강상태 | -7.3375*** | 0.7233 | -10.1441 | 1.6313 |
전기 대비 건강상태 악화 여부 | -1.7607*** | 0.6288 | -2.8003 | 1.5138 |
건강상태로 일 제한 여부 | -0.4887 | 0.48 | -1.0181 | 1.3877 |
경제적 특성 | ln_금융총자산 | 0.0048 | 0.0571 | 0.0836 | 1.4498 |
ln_부동산총자산 | 0.158*** | 0.0443 | 3.5664 | 1.2083 |
ln_사업체자산 | 0.2743 | 0.1717 | 1.5977 | 1.0079 |
ln_기타자산 | 0.6114*** | 0.0651 | 9.3884 | 1.4172 |
ln_금융소득 | 0.172* | 0.1002 | 1.7161 | 1.4175 |
ln_부동산소득 | 0.8515*** | 0.1717 | 4.9593 | 1.0484 |
경제활동 여부 | 1.2207** | 0.5358 | 2.2783 | 1.7993 |
모형설명력 | Adj R2=0.314 |
주: 유의수준 1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p < 0.10),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p < 0.05),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p < 0.01).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