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 주택 공급자금 조달방안: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Received: Nov 02, 2018; Revised: Nov 23, 2018; Accepted: Dec 14, 2018
Published Online: Dec 21, 2018
국문초록
전환기 주택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사회주택 및 공적임대주택 공급확대, 점차 적 후분양 정착으로 주택공급자금의 필요성은 현재보다 크게 확대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자금력이 충분하지 않은 중·소 주택사업장의 사업자금 조달 환경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중·소 주택사업자에 대한 신용보강, 금융상품, 여신환경 개선 등 다양한 방 식의 개선방안이 고민될 필요가 있다.
주택공급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하기 위해서는 부동산펀드, 리츠 등 간접투자시장의 선 진화를 검토해야 한다. 시중의 유동자금이 주택공급자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간접투 자환경 분석지표 개발, 상품 개발, 간접투자시장의 홍보 등 다방면의 개선 노력이 필요 하며, 장기투자가 가능한 연기금, 보험사 등이 지분투자방식으로 주택공급 사업에 진입 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기법과 중·소 건설사들이 장기임대주택 공급, 사회주택 공급 등 에 진입할 수 있도록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체계를 제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개발사업 규모, 형태별 다양한 자금조달방식 도입이 검토되어야 할 것 이다. 미국의 지역개발금융기관(CDFI fund)이나 중국개발은행 등 사례와 같이 부동 산개발사업 투자 전용 펀드나 개발사업 주택건설자금 채권유동화(Commercial paper+공적보증+유동화구조) 등 다양한 형태의 금융구조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
 
                
		 PDF Download
 PDF Download PubReader
 PubReader Export Citation
 Export Citation Email the Author
 Email the Author Share Facebook
 Share Facebook Share Twitter
 Share Twitter Cited by 0 Article
 Cited by 0 Article Metrics (View:2,781)
 Metrics (View:2,781)






